In May of 2015 I was contracted to produce 12 editorial/travel pieces for LX Magazine, a monthly publication funded by Korea Land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Corporation. My section was titled “Looking Through the Blue Eye” (even though my eyes are brown) and consisted of 8-12 photos and short essay with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and the land of each location I was sent to.
Each month I eagerly awaited my next assignment, wondering what part of South Korean geography and culture I’d be sent to explore and learn about next. My adventures took me deep into caves that were places of refuge during the Korean war, onto a boat where a wild shamanistic fisherman’s ceremony was held and so many other intriguing places. Here I share with you my time spent on Yeouido, a small island and financial hub right in the middle of the Han River in Seoul. I have shared both the tear sheets of my editorial and some of my favorite photos that may or may not have been included. You can also read my essay in English or Korean.
I checked with my weather app again, hoping the forecast stayed true to its word. It only took three days for the skies to clear but it felt more like three weeks. Our family had just returned from the Philippines and we were all dealing with some post-vacation depression – longing for schedule-free days on white beaches under deep blue cloud dappled skies again. So when I learned this month’s LX theme was “Dreaming on the Island” I perked up a little assuming I’d be going to Jeju-do. But I didn’t need to catch a plane, train or bus; instead, I swung a leg over my bicycle and followed the Han River to Yeouido.
There wasn’t a single cloud in the sky but looking across the Han River you would never have guessed it. The smog was so heavy that the iconic Yeouido skyline was reduced to ghostly silhouettes. This was definitely NOT the island I was dreaming of, but the day was still young and the weather could change.
Being Seollal (Chinese New Year), the streets were nearly deserted. While crossing Seogang Bridge, one of the three bridges connecting Yeoido to the rest of Seoul, I spotted a photo worthy cruise ship on the other side; I jumped the guard rail and sauntered across the six-lane highway, a most certain suicidal act any other day of the year.
The first thing I noticed coming into Yeouido were the windmills and solar panels along the road. Already I was comforted by the notion that this was an eco friendly island. I veered left down into Hangang Park where I came across Andy working out. He was the first to greet me with a big warm “Hello”. Initially I was interested in Andy’s workout routine but when I saw his mad-max-bicycle our conversation quickly shifted. Andy has volunteered his weekends assisting cyclists for the past 12 years. He is ready with first aid supplies, tools and training for anyone unfortunate enough to get in an accident or breakdown while touring the 9km of cycling path around the island.
I followed Hangang park west to the Seoul Marina and Yacht Club and passed Yeouido’s massive (currently empty) outdoor swimming pool complex on the way. My wife tells me it gets incredibly busy during the summer and I can understand why given its view of the river and city sky line.
The boats on the shady side of the Seoul Marina were still locked in ice and catering carts wrapped in dusty shrink wrap sat on the otherwise empty Yacht Club decks. Clearly it wasn’t the season for swimming or boating. On the far side of the marina however life was stirring. Fishermen had setup along the river bank. Some bated hooks while others sat back, chatting, smoking or just looking into the distance waiting for the catch of the day.
The bike path inevitably led me to Yeouido Saetgang Ecological Park. It was noon and more people were out, perhaps walking off the the previous night’s feast, in the six regions of the park: Yeouido Scenic Area, the Water Purification Marsh Area, the Ecology Education Experience Area, the Willow Tree Culture Area, the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and the Riverside Scenic Area. Atop of the scenic Saetgang Bridge my stomach growled so I made my way towards IFC for lunch.
In just under 800m I went from from natural marsh lands to being surrounded by skyscrapers. Housed in these awe inspiring structures are some of Korea’s most well known brands including the IFC mall. Unlike boating, shopping is never out of season and a array of foreigners and locals passed in and out of the all glass structure the led down into the mall.
My final stop was Yeouido Park, previously an airstrip until it was redeveloped in 1997. On the only remaining large strip of asphalt kids were racing around on push scooters and inline skates. Teams of young men played half court basketball and couples rode tandem bikes along the treed paths. At the far end of the park a crew of skateboarders practiced ollies and rail grinds.
“None of us live in Yeouido, we come because it’s good for skating.” said James, a twenty something year old sporting jeans, t-shirt and a prominent cannabis leaf tattooed on his left arm. James and the eight others were part of a skate club that met weekly at Yeouido park. They had built the rail they were practicing on and gave it a permanent home there. I asked the group if they ever had trouble with the police explaining that in Canada the authorities generally forbid skateboarding anywhere that isn’t a designated skate-park and even go so far as to install little pegs on railing, stairs and other alluring surfaces to keep skaters off. The crew had never encountered any such resistance from the police or public in Yeouido.
With the sun on the verge of setting I cycled back to Hangang Park. Under fluttering kites people were converging on the boardwalk to look north across the river at the peachy Seoul Skyline. I spoke with six young men from Myanmar. They worked in Mapo and Suwon and had traveled to enjoy a rare three day break. I asked why they chose Yeouido of all the places to explore in Seoul. They cited the 63 Building, Han River and skyline as their main motivations. All said they felt extremely relaxed here on the island and you know what, so did I!
Back on the mainland I glanced across the river at Yeouido sparkling in the twilight. Ten hours and 37km later I had a new perspective on the island. Dedicated cycling paths had led me through three massive parks each with their own unique character. Along the way I experienced stunning views, natural and urban, and met interesting people. But the most enjoyable part for me had to be seeing so many Koreans looking rested and relaxed. Perhaps “island time” (the concept that life proceeds at a slower pace on islands) even applies to a finical and political center such as Yeouido. It certainly felt that way today and I dream that it will continue to feel that way tomorrow.
Edited Version – Korean
도심 속의 섬
나 는 일기예보가 틀리지 않았기를 기대하며 휴대폰으로 날씨를 다시 확인했다. 한강 반대편의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이 믿기지가 않았다. 스모그가 너무 심해서 여 의도의 상징적인 스카이라인이 유령같이 실루엣만 보일 정도다. 내가 꿈꾸던 섬의 모습은 절대 아니었으나, 아직 날은 이르고 날씨는 변할 수 있으니 괜찮다고 스스로를 위안하며 자전거를 타고 여의도로 향했다.
배를 타거나 수하는 계절이 아니었기 때문에 요트클럽이나 야외 수장은 당연히 한적했지만, 근처 강둑에는 낚시꾼들로 활기가 넘쳤다. 어떤 이들은 미끼를 걸고 있고, 또 다른 이들은 앉아서 잡담을 하거나 담배를 피우고, 그냥 멀리 바라보며 그날의 수확을 기다리고 있었다. 고수부지에서 만난 앤디는 지난 12년 동안 주말마다 자전거 타는 사람들을 돕고 있었다. 9km 정도 되는 여의도의 자전거도로에서 생기는 사고나 고장을 겪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도록 응급용품과 장비들을 그의 거대한 자전거에 싣고 다니고 있었다.
자전거 길은 자연스레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으로 이어졌고, 사람들은 아름다운 샛강 다리를 건너 공원을 산책하고 있었다. 천천히 자연습지를 지나 여의도의 마천루로 들어섰다. IFC 쇼핑몰과 장엄한 건물들 사이를 지나 여의도공원에 이르다. 옛 활주로의 일부분인 아스팔트 위에서 아이들이 놀고 있었다. 농구를 즐기는 젊은 청년들, 2인용 자전거를 타고 달리는 커플 등 다양한 이들이 휴일의 여유 를 만끽하고 있었다. 그 곳에서 만난 제임스는 스케이트 보드 클럽 친구들과 함께 매주 이곳을 찾는다 고 했다. 여의도공원이 스케이트 보드를 타기에 가장 좋다는 것이었다.
한강공원에는 강 건너 서울의 스카이라인을 만끽하는 한국인들과 외국인들이 있었다. 서울의 많은 곳들 중 여의도를 찾은 것은 한강과 스카이라인 때문이고, 이 섬에서 매우 편안한 기분이 든다고 했다. 나 역시 마찬가지다! 여의도의 자전거 길을 달리며 내가 제일 즐겼던 것은 편안하고 여유로운 한국 사람들의 모습을 보는 것이었다. 어쩌면 정치와 경제의 중심지인 여의도에도 삶의 페이스가 느린 ‘섬 시간’이 적용되는 것이 아닐까. 도심 속 섬 여의도의 남다른 시간이 앞으로도 계속 이어지길 꿈꿔본다. 번역 김수지
사진 그레고리 데이빗 샘볼스키
사진을 찍고 을 쓴 ‘그레고리 데이빗 샘볼스키(33)’는 캐나다에서 온 사진 작가로 한국의 이곳저곳을 모험하기를 즐긴다. 현재 한서대학교 사진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파란 눈으로 바라보는 우리 땅의 새로 운 모습과 그의 생각을 만나보자.
Original Version – Korean
도심 속의 섬
나는 일기예보가 틀리지 않았기를 기대하며 휴대폰으로 날씨를 다시 확인했다
구름이 개이고 다시 하늘이 맑아지기까지는 3일밖에 안 걸렸지만 나에게는 3주가 걸린 것 같은 느낌이었다. 우리 가족은 얼마 전에 필리핀을 다녀와서 각자 모두 여행후유증에 빠져 있었다-청량하게 맑은 파란 하늘 아래 백사장에서 아무 일정 없이 한가하게 지내는 나날로 다시 돌아가고 싶은 것이었다. 그래서 이번 달의 주제가 “섬에서 꿈꾸다” 라는 것을 알았을 때 나는 제주도에 가는 거라고 혼자 추측하며 신났었다. 하지만 결국 나는 비행기나 기차, 버스조차도 탈 필요가 없었다. 대신 그냥 자전거를 쓱 타고 한강을 따라 여의도로 향하게 되었다. 한강 반대편을 보자니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이 믿기지가 않았다. 스모그가 너무 심해서 여의도의 상징적인 스카이라인이 유령같이 실루엣만 보일 정도였다. 내가 꿈꾸던 섬의 모습은 절대 아니었으나, 아직 날은 이르고 날씨는 변할 수 있으니 괜찮다고 스스로를 위안했다. 설날 연휴라서 거리는 한산했다. 여의도까지 이어지는 세 개의 다리 중 하나인 서강대교를 건너다가 갑자기 반대차선 넘어 욕심나는 피사체인 유람선이 지나가는 것을 보고 서둘러서 가드레일을 뛰어넘으며 6차선을 질주하는 자살 행위를 해버렸다.
여의도로 오면서 제일 먼저 눈에 띈 것은 풍차와 태양열 전지판이 길가에 죽 있던 것이다. 그 덕에 친환경적인 섬이라고 느껴지며 이내 곧 편안해졌다. 왼쪽으로 내려가서 한강고수부지 공원에서 운동하고 있는 앤디를 만났다. 그는 따뜻한 인사로 날 맞이해줬다. 초반에 나는 앤디의 운동 루틴에 관심이 있었는데, 그의 거대한 자전거를 보고 나서는 대화 주제를 바꾸었다. 앤디는 지난 12년 동안 그의 주말을 사이클리스트(자전거 타는 사람들)를 돕는 봉사를 하며 보냈다. 그는 이 섬의 9키로 정도되는 자전거도로를 지나면서 생기는 사고나 자전거 고장을 겪는 사람들을 도와줄 수 있는 응급용품들과 장비들을 준비해왔다. 나는 한강을 따라 서쪽으로 서울마리나앤요트클럽이 있는 방향으로 가며 여의도의 거대한 야외 수영장(현재는 비어있는)단지를 지나쳐갔다. 아내는 여름에 사람이 엄청나게 많다고 하는데 도심 스카이라인과 한강전망을 보니 왜 인기가 많은지 짐작이 되었다. 서울마리나의 후미진 구석의 배들은 아직 꽁꽁 얼은 얼음물에 묶여있고, 요트클럽 갑판에는 먼지 방지 덮개를 뒤집어쓴 음식 카트들이 있었다. 당연히 배를 타거나 수영하는 계절은 아니었다. 그러나 마리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활기찬 분위기였다. 강둑 주변에 낚시꾼들이 모여있었다. 어떤 이들은 미끼를 걸고 있고, 또 다른 이들은 앉아서 잡담을 하거나, 담배를 피우던지 그냥 멀리 바라보며 그날의 수확을 기다리고 있었다. 자전거 길은 자연스레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으로 이어졌다. 낮12시가 되자 더 많은 사람들이 나와서 각자의 전날 밤의 열기라도 식히듯 여러 구역으로 나뉜 공원에서 산책하였다. 이 공원은 계류시설과 수초수로, 생태연못, 저습지, 관찰마루 및 관찰로, 버드나무하반림, 건생초지 등이있다. 아름다운 샛강다리 위로 올라가자 배에서 꼬르륵 소리를 내어 점심식사를 하기 위해 IFC쪽으로 갔다. 800미터 만에 나는 자연 습지에서 마천루 천지로 들어왔다. 한국의 많은 유명 브랜드들이 IFC 쇼핑몰 비롯하여 이곳의 장엄한 건물들에 입점해있다. 뱃놀이와 달리 쇼핑은 계절과는 상관없고 다수의 외국인과 내국인들이 쇼핑문의 유리문으로 들어오고 나갔다. 내 마지막 종착지는 바로1997년에 재개발될 때까지 활주로였던 여의도 공원이었다. 남아있는 활주로의 일부분인 길다란 아스팔트 위에서 아이들이 씽씽이와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며 놀고 있었다. 젊은 청년들이 가볍게 농구하고 있었고, 커플들이 2인용 자전거를 타고 나무숲길을 지나는 모습도 보였다. 공원 저 끝 쪽에는 스케이트보드 타는 무리가 점프기술과 난간 타고 내려오기 등을 연습하고 있었다. “여의도에 사는 사람은 없지만 스케이트 타기 좋아서 여기로 와요” 라고
왼쪽 팔에 눈에 띄게 대마초 나뭇잎 문신을 새긴 청바지와 티를 입은 20대의 제임스가 말했다.제임스외 8명은 매주 한번씩 여의도 공원에서 만나는 스케이트 클럽 회원이다. 그들은 연습할 수 있는 난간을 만들어 이곳에 정착시켜놨다. 캐나다에서는 스케이트 전용 공원이 아닌 일반 공원에서는 스케이터들이 탈 수 없도록 레일이나 계단, 바닥 등 곳곳에 못박을 정도로 경찰의 제지가 있는지라 혹시 한국에서도 그런지 물어봤다. 여기 여의도에서는 경찰이나 대중으로부터 그런 제지를 받은 적이 없다고 한다. 해가 떨어질 무렵 나는 다시 한강공원으로 자전거를 타고 갔다. 하늘의 펄럭이는 연들 아래 사람들은 강 건너 북쪽의 복숭아빛 +서울 스카이라인 속으로 들어갔다. 나는 미얀마에서 온 여섯 명의 남자를 만났다. 그들은 평소에 마포와 수원에서 일하지만 흔치 않은 3일 연휴를 즐기기 위해 서울을 여행 중 이었다. 나는 그들에게 왜 서울의 많은 곳들 중에 하필 여의도에 왔냐고 물었다. 그들은 63빌딩, 한강, 그리고 스카이라인을 주요 이유로 뽑았다. 그들은 모두 이 섬에서 매우 편안함을 느낀다고 했고, 그들 말이 맞았다! 다시 건너편 본토로 돌아와 강 건너 황혼에 반짝이는 여의도를 바라보았다.
10시간과 37킬로미터 후 나는 이 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생겼다. 자전거 전용도로는 각각 개성 강한 세 군데의 거대한 공원들을 잘 지나가도록 이끌어줬다.그 여정 속에서는 나는 흥미로운 사람들을 만났고, 자연의 경이로운 전경과 도심의 화려한 모습 모두 경험했다. 그러나 제일 내가 즐겼던 부분은 편안하고 안정된 모습의 한국 사람들의 모습을 보는 것이었다. 어쩌면 “섬 시간”(섬에서는 삶의 페이스가 느리다는 컨셉)이 정치와 경제의 중심지인 여의도에도 적용되는 것 같다. 난 오늘 하루 그렇게 분명히 느껴졌고 내일도 계속 그렇게 이어지길 꿈꿔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