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oudest ahjussi seated at the red plastic table next to the pier extended a paper cup overflowing with makgeolli to me with a shaky hand. He spoke in the kind of abrupt, booming voice you would associate with anger but his eyes and his offering belied kindness. Every time he yelled something at me a hand smacked him across the bicep. The big ajumma hitting him held an ultra thin cigarette between her thick leathery fingers. She yelled something at him and gave me the universal “sorry he’s a little drunk” look. When the second shot of soju followed right behind the first I did my best to politely refuse explaining that I was here on a job to take pictures. Reluctantly, they let me leave but not before feeding me a few tentacles of a still squirming squid dipped in hot sauce. As I left my new friends burst back into song and dance. I checked the clock on my camera — 9:37am, my Sunday was off to an interesting start!
The “Seohaean Baeyeonsingut & Daedonggut” is an ancient shamanistic exorcism ritual performed by Korea’s west-coast maritime people. It’s listed as 82-2 of South Kore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Participants pray to the gods of the heavens and the oceans asking for abundant catches and peace in their village. Getting there without a car takes some effort, in my case a bus ride, three subway transfers and a taxi. Hwasu-dong, the festival location, is situated next to a small inlet in Incheon. Deep inside the industrial zone lies this tiny finishing village almost completely overshadowed by the surrounding factories. There are no rocks, there is no sand, not even dirt in the area, just a long corridor of water lined with bleak grey industry all the way to the ocean. Yet after your eyes have adjusted to the concrete landscape you can spot the tell tale signs of a fishing village buried in the urban landscape. Stacks of nets are piled along the road along with huge Styrofoam floats resembling giant gel pills. Piles upon piles of foam coolers for transporting the sea food are strapped together and stuffed into every free nook and cranny. There are no 7-11s or GS25s, just a few locally owned markets with tables out front. Their prices even reflect the old feel of the village and its people, just 1,000w for a 1.5 litre bottle of water! How different this place must have been just twenty years ago.
At the heart of the fishing area lies a relatively new looking fish market and pier. Looking down the steep wooden ramp to the pier people were buzzing about preparing for the day’s festivities. I walked down under the large colorful flags and ribbons to the main area. Some folks worked on building a shrine of edibles while others changed into costume. A few spectators were already gathered, sitting under the plastic scrim shade of a fishing boat tied to the left side of the pier. It is here I met Grace, a very down to earth traditional Korean painter with a degree in English literature. Grace explained to me that the songs and dialogue we were about to hear are filled with rich stories and edgy humor. We were both saddened that I would probably not be able to catch it, yet I felt I could imagine what it might be like. Canada’s east-coast maritime community is also a boisterous bunch well known for their songs, stories, bravery, humor and love of the drink.
Those not participating in the ritual were eventually asked to leave the pier temporarily for the start of the event. As I milled around up top waiting for things to get started one of the participants approached me. His name was Joe, he was dressed in a pure white hambok and spoke excellent English. Joe radiated a certain energy I find difficult to sum up in words but I will try. Perhaps it could best be described as enthusiasm, positivity, confidence, strength, warmth and honesty all rolled into one. I asked Joe how long he’d been doing this ceremony, he replied “35 years”. I said, “So basically since you were born!” and he responded “No, I’m 55”. Joe swore he wasn’t joking about his age but I still have trouble believing him. Joe escorted me back down the ramp informing me that I was free to stay to take photos of the opening ritual and could come to him anytime during the day if I had questions. (I later asked Joe if he had given me privileged access because he had been informed about my coming to take photos. If I understood him correctly (it was very noisy at the time) the shaman mother sensed a positive energy coming off of me, she somehow knew I was a teacher and teachers are quite highly regarded by shamans so she asked Joe to get me and bring me down. I was flattered.)
The first ritual commenced at 10:30am on the small pier flanked by six weathered fishing boats on the left and right side. It began with traditional music, dance and offerings of food, makgeolli and soju to the spirit world. The song and dance instantly reminded me of Canada’s indigenous people. Follow the link below to a youtube video featuring the Squamish Nation, a tribe near Vancouver BC, performing a Pow Wow in traditional dress and you’ll see and hear striking resemblances (http://goo.gl/YjJpe7) Joe wasn’t surprised at all by my observation, he informed me that the language used to communicate with the spirit world is virtually the same all over the world. It’s a basic rhythmical beat accompanied by repetitive vocals, simplicity is key when speaking to spirits.
From the pier the procession proceeded up the ramp and along the street past a warehouse were the rest of the performers, the most notable of which was the shaman mother, joined the group. A sizeable crowd of around seventy spectators had now formed. Further song, dance and offerings were made at a nondescript location overlooking a few boats on the harbor. The group then moved to a shop so crowded with anchors and the makings thereof it was hard to fathom how anyone could even get in the door to work. A man was honored, perhaps the anchor maker. Then it was onto the fish market and back down to the pier.
It was at this point the giant coolers of makgeolli and water were opened to the public and acorn tofu was distributed. No glass was left empty, if you weren’t feeding yourself someone would feed you. All the while the song, dance and offerings continued, right through lunch which consisted of mulchi bokkeum, ddoek, kimchi, bossam, rice and iced seaweed soup.
As the effects of the makgeolli and soju were nearing their peak so was the event. A long line of visitors queued in front of one the ladies. A 10,000w bill was exchanged in return for her words. The first woman was extremely emotional, sobbing and in tears and was referred to the shaman mother. Most other fortune seekers got a quick quip that resulted in an uproar of laughter from the crowd.
Following the fortune telling was an event that involved passing a large chunk of ddeok from a long piece of white fabric resembling a scarf onto the back of a woman or man. He or she had to catch and cradle it by flooding the back of their shirt up over it. The majority of those who participated were young women. Perhaps they were wishing for a baby in the near future? As the line grew shorter the music grew louder and faster and soon everyone was dancing on the pier in a trance-like state. The energy continued to build and climaxed when one of the lead ladies in a hanbok grabbed the tray with the pig’s head and danced with it on top of her head. The tempo built, the people danced harder and then, for the first time in five hours, the music stopped and applause erupted. It was over.
My experience at Seohaean Baeyeonsingut & Daedonggut will stay with me forever. I may have missed a lot of what was said but I FELT everything. Most of all I felt the generosity and kindness of the performers, spectators and towns people. It started with soju and squid in the morning and carried on all through the day. A total stranger walked me to the bathroom when I asked where it was. An old man smoking a cigarette pointed out the way back to the festival when he thought I was lost. A table of four having an early dinner shared a glass of soju and started hand feeding me BBQ eel, gochujang and onions wrapped in sesame leaves on my way by. I’m truly honored to have been welcomed with such open arms to this event, something I would never have discovered on my own. My sincerest thanks goes out everyone who welcomed me with open arms there that day. See you again next year!
Edited Version- Korean
삶의 희로애락을 가득 담아, 바다에
소망의 배를 띄우다
첫 번째 의식은 10시 30분, 부두에서 6개의 어선들이 왼쪽과 오른쪽에서 호위하고 있는 가운데 전통음악과 춤, 제사음식과 술 등을 영혼세계에 바치는 것으로 시작됐다. 오늘 제의의 가장 중요한 사람, 무당이 등장하자 일행은 어시장과 닻을 만드는 가게를 비롯해 마을 전체를 돌았다. 70여 명의 제법 많은 구경꾼들이 몰려들었다. 일행이 다시 부두로 돌아오자 시원한 막걸리와 물, 안주가 준비되어 있었다.
Original Version – Korean
부두 옆 빨간 플라스틱 의자에 앉은 제일 시끄러운 아저씨가 나에게 가득 채운 막걸리가 담긴 종이컵을 떨리는 손으로 건네주었다. 그는 무언가 화가 난듯한 욱하고 큰 목소리로 말했지만 눈빛과 호의는 친절한 것 같았다. 매번 나에게 무엇인가 소리칠 때 마다 그의 이두박근을 어떤 손이 때리고 있었다. 아저씨를 때리던 아줌마는 커다란 몸집에 두터운 손가락으로 엄청 얇은 담배를 끼고 있었다. 그녀는 그에게 소리를 질러댔고, 나에게는 “미안해요, 이 사람이 좀 취했어요.”라는 표정을 지었다. 두 번째로 소주를 채운 잔이 다시 나에게 건네지자 나는 예의를 갖춰서 거절하며 이곳에 사진을 찍는 일을 하러 왔다고 설명하였다. 그들은 고추장에 듬뿍 찍은 아직 촉수가 꿈틀대는 오징어를 내게 먹이고서야 어쩔 수 없이 날 보내줬다. 내가 떠나자 나의 이 새로운 친구들은 바로 다시 춤과 노래의 현장 속으로 들어갔다. 나는 카메라의 시계를 보았다.- 9시37분. 나의 일요일은 아주 흥미롭게 시작되고 있구나!
서해안 배연신굿과 대동굿은 이곳 서해안 사람들의 오래된 전통 방식의 굿이다.이것은 중요무형문화재 82-로 등록되어있다. 참가자들은 풍어와 평화를 마을에 가져다 주기를 바라며 하늘과 바다의 신들에게 기도한다. 차가 없이 그곳에 가기는 조금 힘들다는 것을 나는 버스를 타고 세 번의 지하철 환승과 택시를 타고 가서야 느꼈다. 인천의 작은 만 옆의 화수동 이라는 곳에서 그 축제는 일어난다. 산업지구 깊숙한 곳에 주변의 공장들이 이 작은 마지막 마을을 둘러 싸고 있다. 그곳에는 돌도, 모래도, 먼지들조차도 없는 것 같았다. 그저 기다란 복도 같은 물길이 암울한 회색 빛의 산업지구와 나란히 바다까지 이어질 뿐. 그러나 당신의 눈이 콘크리트 전경에 익숙해지고 나면 도시풍경에 감춰진 작은 마을로 가는 길을 알려주는 신호가 눈에 띈다. 그물망 더미가 길가 따라 쌓여있고, 커다란 젤 알약을 연상시키는 거대한 스피로폼이 물에 떠 있었다. 해산물을 배송하기 위한 폼으로 만들어진 아이스박스 더미들이 마을 구석구석에 쌓여서 묶여있다. 그 곳에 편의점은 없고 동네 분이 운영하는 테이블이 마당에 놓인 슈퍼들은 있다. 그곳에 가격은 그 오래된 느낌의 동네와 사람들을 반영하듯 1.5리터의 물이 단돈 천원밖에 하지 않았다! 20년 전만 해도 이 동네는 얼마나 달랐을 까.
이 어촌의 중심부에는 비교적 새로워 보이는 어시장과 부두가 보인다. 비탈진 나무 경사로를 내려다 보니 부두의 사람들이 오늘의 축제를 위해 준비하느라 분주했다.나는 커다랗고 알록달록한 깃발들과 리본들 밑으로 해서 중심지까지 걸어 내려갔다. 어떤 사람들은 제사상을 차리고 있었고 다른 사람들은 의상을 갈아입고 있었다. 구경꾼 몇몇은 이미 모여들었고 부두 왼쪽 어선들 돛의 그늘에 앉아 있었다. 여기서 나는 그레이스 라는 성격이 아주 좋은, 영문학을 전공한 한국인 화가를 만났다. 그레이스는 우리가 곧 듣게 될 대화와 노래들은 감성 풍부한 내용과 신랄한 해학이 담겨있다고 설명해주었다. 내가 완전히 다 이해 할 수 없다는 것에 우리는 슬퍼졌지만 그래도 나는 어떤 느낌일지 짐작할 수 있었다. 캐나다의 동부 해안의 지역도 그 활기 넘치는 주민들의 이야기들과 노래들, 용맹함, 해학 그리고 술에 대한 애착으로 유명하기 때문이다.
의식에 참가하지 않는 사람들은 결국 시작하기 전에 부두를 잠시 떠나달라는 부탁을 듣게 되었다.내가 위쪽에서 시작되기를 기다리고 있을 때 참가자들 중 한 명이 나에게 다가왔다. 그의 이름은 조였고, 순백의 한복을 입고 있었으며 영어를 유창하게 잘했다. 조는 말로 형용하기 힘든 에너지를 발산하고 있었다. 열정, 긍정, 자신감, 힘찬 기운, 따뜻함, 그리고 솔직함이 한데 다 어우러졌다고 하는 것이 아마 제일 근접한 표현일 것이다. 나는 조에게 얼마나 오랫동안 이 의식에 참여하였는지 물었고 그는 35년이라고 대답했다. 나는 그럼 거의 태어났을 때부터냐고 물었고 그는 “아니, 나는 55살이야.” 라고 말했다. 조는 절대 자기 나이로 농담하지 않는다고 맹세했지만 나는 믿기 힘들었다. 조는 다시 나를 부두가로 안내해줬고, 이 공개의식을 자유롭게 사진 찍을 수 있고 언제든지 궁금한 것은 그에게 질문해도 된다고 얘기해줬다. (나는 나중에 조에게 혹시 내게 이 혜택이 주어진 것이 내가 미리 취재하러 온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냐고 물었다. 내가 제대로 이해한 것이라면 (그 당시는 매우 시끄러웠다) 무당이 내게로부터 아주 긍정적인 기운이 나오는 것을 느꼈고, 내가 교육자라는 것을 어떻게 느낄 수 있었고 무당들은 교육자들을 좋게 보기 때문에 조에게 부탁하여 나를 데려오게 하였다고 전해 들었다. 나는 조금 으쓱해졌다. )
첫 번째 의식은 10시 30분에 아주 작은 부두에서 6개의 어선들이 왼쪽과 오른쪽에서 호위하고 있는 가운데 거행되었다. 전통음악과 춤, 제사음식과 막걸리, 소주 등을 영혼세계에 바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노래와 춤들은 캐나다의 원주민들을 연상시켰다. 다음 링크를 따라가서 유투브 영상을 보면 Squamish Nation이라는 밴쿠버 캐나다 근처의 원주민이 Pow Wow를 전통복을 입고 공연하는 것이 나오는데 소름 끼칠 만큼 유사하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조는 내 관찰에 별로 놀라워하지 않았다. 그는 영혼의 세계에서 소통하는 것은 전세계적으로 같을 것이라고 했다. 기본 리듬 장단에 계속 반복되는 노래로써 영혼과 소통할 때는 단순 한 것이 진리인 것 같다. 부두에서부터 창고까지 가는 길가의 경사를 따라 계속 행렬이 이어지고 있었고 그 중 제일 중요한 사람, 무당이 합류했다. 70여명의 제법 많은 구경꾼들이 몰려들었다. 그 후의 노래와 춤, 그리고 제물은 모두 항구의 배가 내다보이는 별 특징 없는 곳에서 진행되었다. 무리는 이제 닻이 가득 찬 가게를 들어갔고 좁은 문으로 어떻게 들어가서 작업을 하는지 가늠하기도 힘든 곳이였다. 아마도 닻을 만드는 한 사람에게 예의를 갖추고 영광을 표했다. 그 후 어시장으로 갔다가 다시 부두로 돌아왔다. 이 시점에서는 시원하게 냉장 보관된 막걸리와 물이 대중에게 제공 되었고, 두부 또한 제공되었다. 한잔도 비어있지 않았고, 스스로 잔을 채울 수 없다면 누군가는 잔을 채워줬다. 그 와중에 노래와 춤, 그리고 시주는 계속 되었고, 멸치볶음, 떡, 김치, 보쌈, 쌀밥 과 시원한 미역국 먹을 수 있게 되었다. 막걸리와 소주 덕분에 취기가 올라올 때쯤 이 의식의 정점을 찍는 행사가 있었다. 무당들 앞에 방문객들은 길게 줄을 서 있었다.그녀의 한마디와 만원이 교환되었다. 그 중 첫 번째 여성은 무당들 중 우두머리였고 무척이나 감성적이고, 흐느끼며 울고 있었다. 대부분의 다른 점쟁이들은 그저 작은 재담을 하였고 관객들로 하여금 폭소를 일으키게 했다.
점쟁이 다음 절차는 여성이나 남성의 목도리를 연상시키는 기다란 천에 있던 커다란 떡을 나누어 돌리는 것 이였다. 천 위에 놓인 그 떡을 흔들어서 던지면 사람들은 옷을 뒤집은 채로 받아서 안아야 했다. 참가하는 대부분은 어린 여성들 이였다. 어쩌면 그들은 조만간 아기를 기다리던 것 이였을까? 줄이 점점 짧아질수록 음악소리는 점점 커지고 리듬은 빨라졌고 곧 모든 사람들이 부두에서 꿈결 같이 춤추고 있었다. 그 기운은 점점 더 커지고 있었고 한복입고 있던 여성 중 한 명이 돼지머리가 놓인 쟁반을 머리 위에 올리고 춤추고 있을 때 절정을 이루었다. 박자가 쌓이고 사람들은 더욱 흥겹게 신나게 춤추다가 다섯 시간 만에 처음으로 음악이 멈추었고, 박수소리가 터져 나왔다. 끝난 것이다.서해안 배연신굿과 대동굿에서의 경험을 나는 영원히 잊지 못할 것이다. 내가 알아듣지 못한 것들 때문에 놓친 부분이 많겠지만 그래도 모든 것을 다 느낄 수 있었다. 무엇보다 공연자들, 관객들 그리고 동네 주민들의 호의와 친절을 느낄 수 있었다. 아침에 소주와 오징어로 시작된 그 작은 친절이 하루 종일 이어졌다. 철저히 낯선 사람도 나를 화장실까지 안내해줬다. 담배 태우시던 동네 노인은 내가 길 잃은 줄 알고 축제가 어디인지 가르쳐줬다. 이른 저녁을 먹던 네 명이 앉아있던 테이블을 지나던 나는 그들이 손수 싸주는 바베큐장어, 곱창, 그리고 미역에 쌓인 양파와 소주 등을 얻어먹었다. 나 혼자서는 절대 찾을 수 없었을 이 행사에 이렇게 환영 받으며 참가할 수 있어서 진정 영광이라고 생각한다. 그 날 정말 따듯하게 환영해주고 호의를 베풀어준 그 곳의 모든 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서 진심으로 감사 드린다. 내년에 또 만나요!